본문 바로가기
에폭시

순천 서면에 위치한 공장 바닥 에폭시 페인트 공사 작업순서

by 순천에서 활동하는 두남자페인트 2025. 3. 17.

안녕하세요 순천에서 활동하는 두남자 페인트 입니다. 요즘 봄이 왔나 싶은데 다시 찬바람이 불어 굉장히 춥네요 ㅠㅠ감기조심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이번에는 순천 서면에 위치한 공장에 에폭시 페인트 공사 문의를 받고 다녀왔습니다. 

 

작업 순서에 따라 천천히 작성할테니 셀프로 도전해보실 분들은 글을 천천히 읽어 내려가시면서 따라하시면 좋은 결과물 얻으실수 있을 겁니다. 

 

우선 작업순서입니다. 

 

가장먼저 청소작업>에폭시 프라이머 작업1차>보수작업>에폭시 프라이머 2차>에폭시코팅 순서입니다.

 

 

작업 전

 

우선 작업 전 사진입니다. 바닥에 크렉이 많고 굉장히 푸석푸석 합니다.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굉장히 오랫동안 방치되고 관리가 안된것 같습니다.

KakaoTalk_20250317_084852126.mp4
1.40MB

 

 

처음 방문했을때의 모습입니다. 이번에 공장 임대를 계약하시고 사용하실때 물건 적재해야 하는데 먼지나 바닥에서 올라오는 습기등이 걱정되셔서 문의를 해주셨습니다. 공장은 200평 가량 되는데 100평만 문의를 주셨습니다. 건문주 사장니께서 100평 정도 작업을 해주신다고 하시네요 ㅎㅎ

 

200평중에 100평만 실측을 해서 작업을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최대만 빠른 날짜로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1.청소작업

우선 가장먼저 청소작업을 진행해 줍니다. 저는 바람부는 송풍기를 이용하여 공장에 문을 활짝 열어놓고 멀리서부터 송풍기 바람을 이용하여 청소작업을 진행해 주었습니다. 그리고 청소 도중에 바닥에 붙은 이물질들은 헤라를 이용하여 그떄그때 제거해 주었습니다.

청소를 총 2회를 진행하였습니다. 송풍기 청소 작업이 끝나면 구석에 눌러붙은 먼지들은 쓸어주고 바닥에 붙은 이물질들은 제거해준 이후에 다시 한번 송풍기를 이용하여 작업해주었습니다.

 

 

2.프라이머작업1차

청소작업이 마무리 되면 프라이머 1차 작업에 들어갑니다.

에폭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작업해주게 됩니다. 에폭시 프라이머 작업은 주제와 경화제를 섞어서 작업해주게 됩니다. 그리고 에폭시 신나를 소량 희석하여 작업해주게 됩니다. 보통은 프라이머 작업에 신나를 많이 사용하지는 않지만 1차 프라이머 작업에는 푸석푸석한 바닥에 스며들어 제 역할을 못하는게 대부분입니다. 그래서 1차때는 스며들것을 감안하고 작업성을 높이기 위해 에폭시 신나를 이용하여 희석해 작업을 해주게 됩니다.

작업 방법은 우선 사이드 부분부터 붓질 작업을 진행하고 2차로 넓은 부분은 롤러를 이용하여 작업해주게 됩니다. 작업전 사진과 작업 후의 사진을 비교해보면 아시겠지만 프라이머를 도포하게 되면 광택이 나고 단단해 지게 됩니다. 프라이머를 바르지 않았을때는 바닥이 푸석푸석해 보이지만 프라이머 작업 이후에는 바닥이 단단해 지는것을 볼수 있습니다. 그리고 2차 프라이머 작업 이후에는 더욱 단단한 바닥을 볼 수 있습니다.

1차프라이머

 

프리이머 작업을 했는데도 곳곳에 스며들어 버린 바닥을 볼수 있습니다.

 

 

3.보수작업

프라이머 1차 작업이 끝나면 보수작업을 해주게 됩니다.

보수작업 시에는 수용성 실리콘이나 보수용시멘트, 에폭시 퍼티등을 이용하여 작업해주게 됩니다. 저같은 경우에은 수용성 실리콘을 이용하여 작업해주었습니다. 수용성 실리콘이 작업성도 뛰어나고 건조가 굉장히 빠릅니다.

큰 크렉들을 위주로 보수작업 해주었습니다. 처음 미팅때 크렉이 전부 없이 작업하기를 원하셨지만 크렉을 전부 보수하기에는 시간과 비용등의 문제로 큰 것들만 보수하시고 작업해잘라고 하셨습니다. 크렉을 전부 잡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등이 있는데 면갈이 이후 바닥에 미장이나 방통을 치는 것과 에폭시 라이닝을 이용하여 크렉을 전부 보수해주는 방법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시간과 비용등의 문제가 있습니다.

큰 크렉등을 보수하고 작은 크렉등은 에폭시 코팅 과정에서 은폐되기를 바라는 수 밖에 없습니다.

 

 

보수작업

 

 

4.프라이머 작업2차

프라이머 작업 2차에 들어갑니다. 

저는 보수작업이 끝나고 하루 양생 시키고 다음날 프라이머 작업에 들어왔습니다.

보통 프라이머 작업까지 전부 끝내고 양생을 갖거나 보수작업이 끝난 이후에 양생시간을 갖는게 좋습니다. 저는 시간상 1차 프라이머 작업과 보수작업 이후에 양생시간을 갖고 다음날 2차 작업에 들어가기로 했습니다.

 

2차 프라이머 작업은 오전에 진행하고 오후에 에폭시 페인트 작업을 해주게 되면 좋습니다. 중간 시간에 충분한 건조시간을 갖고 작업하게 되면 좋습니다. 2차 프라이머 작업시에는 1차 작업 시간에 비해 자재의 양이 확연히 줄게 됩니다. 1차프라이머 작업에는 바닥에 흡수되는게 굉장히 많지만 2차 작업시에는 바닥에 많은 양이 흡수되지 않고 표면에 머물러 남아있는것이 많기 때문에 1차때보다는 적은 양으로 2차 프라이머 작업을 할수 있습니다.

 

 

프라이머 작업2차

 

 

2차 프라이머 작업도 1차와 동일하게 붓질작업을 먼저 진행하고 이후에 롤러를 이용하여 넓은 면을 작업해주게 됩니다.

 

 

5.에폭시 코팅작업

오전에 프라이머 작업이 끝나고 건조 이후에 에폭시 코팅 작업이 들어가게 됩니다.

에폭시 코팅 역시 2액형의 자재로써 주제와 경화제가 있습니다. 주제와 경화제를 비율에 맞추어 교반하여 작업하게 됩니다. 교반 이후에 작업성을 위하여 에폭시 신나를 이용하여 희석해주게 됩니다. 희석하지 않고 작업하게 되면 작업성이 떨어질수있기 때문에 소량을 이용하여 희석하여 작업해주게 되는데 이때 주의할 점이 너무많은 양을 이용하여 희석해주게 되면 은폐와 에폭시 성능의 저하의 문제가 있을수 있기때문에 주의하여야 합니다. 농도를 잘 확인하시어 희석후 잘 교반하여 작업하여야 합니다.

 

코팅 작업은 프라이머 작업과 동일하게 사이드 부터 붓질작업을 먼저 진행하여 줍니다. 그리고 큰 바닥면은 유성롤러나 겸용롤러를 이용하여 작업하 게 됩니다.

에폭시 코팅작업

 

 

에폭시 코팅 작업시에 제가 꼭 지키는 것이 있습니다. 

롤러 작업시 가로 세로 방향으로 교차하여 작업한다는 것입니다.

보통은 한쪽 방향으로만 롤러작업을 하게 되는데 그렇게 되면 문제점이 도료가 빠지거나 한쪽으로 뭉침이 있을수 있습니다. 작업시에는 보이지 않는 것들이 작업 이후에 확인해보면 빠지는 부분등의 문제를 볼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꼭 교차하여 작업해주어야 합니다. 

 

보통 가로방향으로 먼저 작업을 해주고 곧이어 바로 세로방향으로 작업해주게 됩니다. 조금은 번거롭지만 이렇게 작업 해주어야 빠지는 부분이 없이 꼼꼼하게 작업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작업시 주의할 점은 가로방향 이후에 세로방향 작업시 너무 늦게 작업해주게 되면 먼저 도포했던 페인트가 건조되어 뒷 작업을 할수 없을때가 있습니다. 그렇기때문에 가로방향을 작업했다면 빠른 시간안에 후속작업을 진행하여야 합니다.

 

 

에폭시코팅

 

 

이렇게 모든 작업이 잘 끝났습니다. 

에폭시 작업 이후에 경화는 24시간 이후면 도보가 가능합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